글 목록으로 이동

봄가을 블로그

기술2024년 11월 24일--views

Vanilla 자바스크립트에서 개별적인 상태 관리하기 (@preact/signals-core)

상태 관리에 대해서 다시금 분해하여 생각해봅니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preact/signals-core를 사용하여 상태 관리를 해봅니다.

검증하는 사진
상태 관리는 머리가 아프니 귀여운 새 사진을 보면서 힐링해요. Photo: Unsplash from Saketh Upadhya

상태란 무엇일까요? (정확한 정의 보다는 느낌적인 느낌으로 떠올려본다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변하는 내부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에서 중국집에 주문을 넣는다고 합시다. 주문을 하려면 각 메뉴를 추가하면서 최소 주문 금액을 맞춰야 합니다. 사용자가 적절히 장바구니에 넣는다면 그에 따른 로직이 잘 돌아야 하고 UI도 올바르게 갱신되어야 합니다.

요구사항

그런데 이 글에서는 특이한 요구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바로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란 거죠! 이미 구축된 레거시 사이트에 기능을 직접 추가한다든지, JavaScript 용량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든지 하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태를 잘 다루어야 하겠습니다. 그런데 상태를 잘 다룰 수 있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상태가 어떤 모습이어야 우리가 다루기가 편리할까요?

상태의 조건

어지간한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React, Svelte 등)는 상태 관리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React에서는 State Hooks라는 특별한 함수로 상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React에서 중국집 주문하는 부분을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FoodOrderApp = () => {
const [jjamppong, setJjamppong] = useState(0);
const [jjajangmyeon, setJjajangmyeon] = useState(0);
const JJAMPPONG_PRICE = 7900;
const JJAJANGMYEON_PRICE = 5900;
const MIN_ORDER_AMOUNT = 15000;
const total = jjamppong * JJAMPPONG_PRICE + jjajangmyeon * JJAJANGMYEON_PRICE;
const isValidOrder = total >= MIN_ORDER_AMOUNT;
const handleOrder = () => {
console.log("주문 내역:", {
짬뽕: jjamppong,
짜장면: jjajangmyeon,
총액: total,
});
};
return (
<>
<style>{/* 중략 */}</style>
<div className="container">
<h1 className="title">음식 주문</h1>
<div className="menu-item">
<h2>짬뽕 (7,900원)</h2>
<div className="quantity-controller">
<button
className="btn btn-control"
onClick={() => setJjamppong(Math.max(0, jjamppong - 1))}
>
-
</button>
<input
className="quantity-input"
type="number"
value={jjamppong}
onChange={(e) =>
setJjamppong(Math.max(0, parseInt(e.target.value) || 0))
}
min="0"
/>
<button
className="btn btn-control"
onClick={() => setJjamppong(jjamppong + 1)}
>
+
</button>
</div>
</div>
<div className="menu-item">
<h2>짜장면 (5,900원)</h2>
<div className="quantity-controller">
<button
className="btn btn-control"
onClick={() => setJjajangmyeon(Math.max(0, jjajangmyeon - 1))}
>
-
</button>
<input
className="quantity-input"
type="number"
value={jjajangmyeon}
onChange={(e) =>
setJjajangmyeon(Math.max(0, parseInt(e.target.value) || 0))
}
min="0"
/>
<button
className="btn btn-control"
onClick={() => setJjajangmyeon(jjajangmyeon + 1)}
>
+
</button>
</div>
</div>
<p className="total-price">총 주문금액: {total.toLocaleString()}</p>
<p className="min-price">최소 주문금액: 15,000원</p>
<button
className="btn btn-order"
onClick={handleOrder}
disabled={!isValidOrder}
>
주문하기
</button>
</div>
</>
);
};
export default FoodOrderApp;

음식 주문

총 주문금액: 0

최소 주문금액: 15,000원

대략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eact가 처음에 FoodOrderApp를 렌더링하면서 모든 주문의 개수가 0입니다. <input> 에도 제대로 0이 들어가 있게 되고 총 주문 금액도 0원으로 표시됩니다.
  2. 사용자가 짬뽕에서 +버튼을 누르면 setJjamppong(jjamppong + 1) 이 호출됩니다.
  3. jjamppong 은 1로 바뀜과 동시에 React는 이 FoodOrderApp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어야 함을 알게 됩니다.
  4. React는 적절히 리렌더링하여 바뀐 jjamppong 값 및 그에 따른 총액 등을 다시 잘 보여줍니다.

React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바뀐 상태를 잘 보여주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우리 개발자는 언제 어떤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야 하는지 알 필요가 없습니다. 훌륭하게 캡슐화되어 있기에 우리는 사실 React가 얼마나 편리한지 인지하기도 어렵습니다!

사실 이 편리함은 JSX가 지닌 표현력도 한 몫 하겠지만 일단 지금은 그게 포인트가 아닙니다. 상태 변경에 따라 그 이후에 착착 잘 진행된다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React의 사례를 봤을 때 상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우리가 필요한 수준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로컬 상태, 혹은 개별적인 컴포넌트 단위의 상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마치 useState 처럼)
  • 상태와 로직은 언제든지 추가/삭제될 수 있습니다.
  • 각 상태는 변화가 잘 추적되어야 합니다. (리렌더링, useMemo, useEffect 처럼)

중앙집중 상태 관리는 필요 없다

Zustand와 같은 중앙 집중식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이 좀 더 특수한 상황에서 편리합니다.

  • 상태를 전달하는 데 큰 비용이 듬: 상태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주로 Props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컴포넌트의 종류가 다양하고 트리가 깊을 때 상태가 정의된 쪽(예: 글로벌한 테마 설정)과 상태를 실제로 사용하는 쪽(예: 세부 버튼의 폰트 색깔 등)의 거리가 아주 멀어서 불편한 상황입니다. Prop Drilling이라고도 이야기를 하죠.
  • 상태를 한 곳에서 정의할 수 있음: 필요한 상태를 미리 다 알 수 있다면 중앙집중식은 편합니다. 상태 간 의존성이나 상태 변경 수단을 한 곳에서 지정해둘 수 있다면, 상태를 소비하는 쪽에서는 추상화된 수단을 이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위 이야기를 다르게 말하면, 상태를 전달하는 데 비용이 별로 들지 않고 상태를 여러 곳에서 정의하며 로직도 언제든지 추가/삭제될 수 있는 혼돈의 상황이라면 중앙집중 상태관리가 썩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래서 Zustand는 머릿속에서 지우시기 바랍니다ㅎㅎ

직접 맛을 보자

라이브러리의 도움 없이 만들어봅시다. 일단 짜장면은 빼고 짬뽕만 직접 만들어봅시다.

<div class="container">
<h1 class="title">음식 주문</h1>
<div class="menu-item">
<h2>짬뽕 (7,900원)</h2>
<div class="quantity-controller">
<button class="btn btn-control" id="minus-button">-</button>
<input
class="quantity-input"
type="number"
id="quantity-input"
value="0"
min="0"
/>
<button class="btn btn-control" id="plus-button">+</button>
</div>
</div>
<p class="total-price" id="total-price">총 주문금액: 0원</p>
<p class="min-price">최소 주문금액: 15,000원</p>
<button class="btn btn-order" id="order-button" disabled>주문하기</button>
</div>
<script>
// 상수
const JJAMPPONG_PRICE = 7900;
const MIN_ORDER_AMOUNT = 15000;
// 상태
let jjamppong = 0;
// DOM 요소 가져오기
const quantityInput = document.querySelector("#quantity-input");
const minusButton = document.querySelector("#minus-button");
const plusButton = document.querySelector("#plus-button");
const totalPrice = document.querySelector("#total-price");
const orderButton = document.querySelector("#order-button");
// UI 업데이트 함수
const updateUI = () => {
quantityInput.value = jjamppong;
const total = jjamppong * JJAMPPONG_PRICE;
totalPrice.innerHTML = `총 주문금액: ${total.toLocaleString()}`;
orderButton.disabled = total < MIN_ORDER_AMOUNT;
};
// 이벤트 리스너
minus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jjamppong = Math.max(0, jjamppong - 1);
updateUI();
});
plus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jjamppong = jjamppong + 1;
updateUI();
});
quantityInput.addEventListener("change", (e) => {
jjamppong = Math.max(0, parseInt(e.target.value) || 0);
updateUI();
});
orde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t total = jjamppong * JJAMPPONG_PRICE;
console.log("주문 내역:", { 짬뽕: jjamppong, 총액: total });
});
// 초기 UI 설정
updateUI();
</script>

큰 틀에서는 비슷해 보이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제 우리가 직접 UI를 업데이트 해줘야 합니다. 자연스레 중복 코드도 많아져서 겹치는 부분을 updateUI 함수로 뺐지만, 여전히 함수 호출의 책임은 이벤트 핸들러에 있고, 강제되는 것도 아니라서 누락하기도 쉬워 보입니다.

상태가 일관되게 보여야 한다는 건 맞지만 그 책임을 상태 변경하는 쪽에 지운다는 건 너무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짜장면 개수만 바꾸고 싶을 뿐인데 최소 금액 조건이 맞는지까지 체크를 해야 한다니요. 변수 값 변경에 따른 검사 로직을 다른 데에 따로 정의하고 싶지만 변수로 간단히 상태를 정의한다면 이를 추적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변수는 단지 메모리에 존재하는 작은 값 조각일 뿐이죠.

일단 이 상태에서 짜장면을 추가한다고 했을 때 어려운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계 계산 수정을 주문 버튼에도 수정하고 UI 업데이트에서도 수정해야 합니다. 같은 계산인데 여러 곳에서 수정해야 한다면 → 누락되기 쉽습니다.
  • 이벤트 핸들러들이 추가되면서 모두 updateUI 함수를 호출해야 합니다. → 누락되기 쉽습니다.

그러다 쿠폰 적용 기능도 추가된다면? 짬뽕 추가 버튼에서 쿠폰 유무까지 신경쓰면서 최종 금액을 계산해야 할 겁니다.

분통 터져 머리채를 쥐어잡고 싶지만 머리가 없다
머리채를 잡아뜯고 싶지만 이제 남아있는 머리카락이 없다

결론은, 상태의 개수가 추가되면 추가될 수록, 상태를 변경시키는 수단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코드의 복잡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상태에 따른 일관성을 지키는 부분만 별도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럴려면 아래와 같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 상태가 변경될 때 호출되는 함수를 미리 등록(subscribe)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상태가 변경될 때 등록한 함수가 알아서 잘 실행되어야 합니다.

자 이제 직접 짜는 건 힘드니까 라이브러리의 힘을 받아봅시다.

Signal 개요

저희는 @preact/signals-core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입니다. 아래 이유로 채택하였습니다.

  • 용량이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4.24kB, br 압축하면 2.3 kB)
  • 딱 필요한 기능 정도만 가지고 있습니다.
  • 안정성도 어느정도 보장되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Preact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되고 있고, GitHub Star 수는 2024년 11월 기준 3,800개이며 주간 다운로드 수는 약 24만 회로 준수한 편입니다.

대충 봤는데 우리가 앞서 살펴본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해줄 수 있을 것 같아서 다른 라이브러리는 크게 찾아보지 않았습니다.

언제든지 작은 단위의 상태(signal)를 만들어낼 수 있고 변경 추적을 위한 용이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게 우리에겐 가장 중요합니다. Signal이 도대체 무엇이냐는 건 이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아래 글들을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상태 관리라는 건 유구한 전통을 가진 주제이고, 그 역사적 흐름을 캐치하고 있다면 당신은 초고수…!

@preact/signals-core 기본 사용법

설치는 간단합니다.

npm install @preact/signals-core

혹은 다음과 같이 사용해도 됩니다.

<script type="module">
import {
signal,
computed,
effect,
} from "https://unpkg.com/@preact/signals-core@1.8.0/dist/signals-core.module.js";
// 이하 내용
</script>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 signal, computed, effect } from "@preact/signals-core";
// 상태(signal) 생성
const counter = signal(0);
const name = signal("Jane");
const surname = signal("Doe");
// 연계된 상태 생성
const fullName = computed(() => name.value + " " + surname.value);
// 상태 읽기
console.log(counter.value);
// 상태 쓰기
counter.value = 1;
name.value = "John";
// 연계된 함수 등록 (fullName이 변경되면 함수가 호출됨)
const dispose = effect(() => console.log("fullName", fullName.value));
// 연계된 함수를 해제함
dispose();
  • signal: signal 을 생성합니다.
  • .value 속성으로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
  • .value 속성에 대입함으로써 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 computed: 다른 signal 에 의존하는 signal을 생성합니다.
  • effect: signal이 변경됐을 때 동작할 함수를 등록합니다. 리턴되는 함수는 등록을 해제하는 함수입니다.

이것만 있어도 우리는 행복하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내부적인 동작이 조금 신기할 순 있는데요, computed 함수나 effect 함수 내에서 어떤 signal의 value 속성에 접근하고자 한다면, 이는 의존 관계가 있다고 보고 추후 업데이트할 때 이 함수를 동작하도록 어딘가에 저장해놓습니다. 값 쓰기를 할 때에는 value에 새로운 값이 대입될 때 의존 관계에 있는 signal이나 함수들에게 알립니다. 소스 코드를 잠시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Object.defineProperty(Signal.prototype, "value", {
get(this: Signal) {
const node = addDependency(this); // 의존성 추가
if (node !== undefined) {
node._version = this._version;
}
return this._value;
},
set(this: Signal, value) {
if (value !== this._value) {
this._value = value;
this._version++;
globalVersion++;
/** 이하 연계된 상태 갱신 */
/**@__INLINE__*/ startBatch();
try {
for (
let node = this._targets;
node !== undefined;
node = node._nextTarget
) {
node._target._notify();
}
} finally {
endBatch();
}
}
},
});

코드를 효과적으로 작성해보기

이제 이 signal을 통해서 코드를 좀 수정해보겠습니다.

// UI는 이전과 동일합니다.
import {
signal,
computed,
effect,
} from "https://unpkg.com/@preact/signals-core@1.8.0/dist/signals-core.module.js";
// 상수
const JJAMPPONG_PRICE = 7900;
const MIN_ORDER_AMOUNT = 15000;
// 상태 정의
const jjamppong = signal(0);
const total = computed(() => jjamppong.value * JJAMPPONG_PRICE);
const isValidOrder = computed(() => total.value >= MIN_ORDER_AMOUNT);
// DOM 요소
const quantityInput = document.querySelector("#quantity-input");
const minusButton = document.querySelector("#minus-button");
const plusButton = document.querySelector("#plus-button");
const totalPrice = document.querySelector("#total-price");
const orderButton = document.querySelector("#order-button");
// Signal 효과 설정
effect(() => {
quantityInput.value = jjamppong.value;
});
effect(() => {
totalPrice.innerHTML = `총 주문금액: ${total.value.toLocaleString()}`;
});
effect(() => {
orderButton.disabled = !isValidOrder.value;
});
// 이벤트 리스너
minus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jjamppong.value = Math.max(0, jjamppong.value - 1);
});
plus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jjamppong.value = jjamppong.value + 1;
});
quantityInput.addEventListener("change", (e) => {
jjamppong.value = Math.max(0, parseInt(e.target.value) || 0);
});
orde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주문 내역:", {
짬뽕: jjamppong.value,
총액: total.value,
});
});

우선 상태 정의는 let에서 signal(…)로 변경됐습니다. 이제 updateUI 같은 건 없어졌습니다. 그 대신 effect 함수 안에서 독립적으로 UI를 갱신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click/change 이벤트 리스너에서는 signal에 쓰기를 할 뿐입니다. signal은 알아서 상태가 바뀌었다는 걸 알고 effect로 등록해놓은 함수를 실행시킵니다. 코드가 좀 더 선언적으로 바뀌어서 동작 예측이 더 쉬워지고 코드 이해도 더 쉬워지고 중복 코드도 싹 줄어들었습니다!

이제 짜장면을 추가해볼까요? 추가하거나 수정해야 할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1. 상수 추가
const JJAJANGMYEON_PRICE = 5900;
// 2. 상태 추가
const jjajangmyeon = signal(0);
// 3. total computed 수정
const total = computed(
() =>
jjamppong.value * JJAMPPONG_PRICE + jjajangmyeon.value * JJAJANGMYEON_PRICE,
);
// 4. DOM 요소 추가 (HTML 추가는 알아서)
const jjajangInput = document.querySelector("#jjajang-input");
const jjajangMinusBtn = document.querySelector("#jjajang-minus");
const jjajangPlusBtn = document.querySelector("#jjajang-plus");
// 5. Effect 추가
effect(() => {
jjajangInput.value = jjajangmyeon.value;
});
// 6. 이벤트 리스너 추가 (다른 이벤트 리스너들 아래에)
jjajangMinusBtn.addEventListener("click", () => {
jjajangmyeon.value = Math.max(0, jjajangmyeon.value - 1);
});
jjajangPlusBtn.addEventListener("click", () => {
jjajangmyeon.value = jjajangmyeon.value + 1;
});
jjajangInput.addEventListener("change", (e) => {
jjajangmyeon.value = Math.max(0, parseInt(e.target.value) || 0);
});
// 7. 주문 버튼의 콘솔 로그 수정
orde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주문 내역:", {
짬뽕: jjamppong.value,
짜장면: jjajangmyeon.value,
총액: total.value,
});
});

수정할 것만 수정하고 추가할 것만 추가하며 영향도가 최소화되었습니다. 각자 독립적으로 잘 동작하네요! (짬뽕을 수정했다고 짜장면의 UI 업데이트가 일어나진 않습니다)

마치며

signal과 같은 상태 라이브러리는 앞서 이야기한 문제들 뿐만 아니라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일반적으로 겪는 (그러나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문제를 대부분 해결해줍니다. 성능적인 부분도 어느정도 커버가 되구요. 수많은 테스트 케이스를 본다면 엣지 케이스가 얼마나 많은지 실감하게 됩니다.

@preact/signals-core 그 자체의 쓰임새나 이점이나 다른 라이브러리와의 관계는 의도적으로 많이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이미 익숙한 - 혹은 익숙하다고 여겨왔던 개념들을 다시 분해하여 생각해보고, 맞닥뜨린 요구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확실히 하고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는 과정을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우리는 무작정 라이브러리를 찾아나서거나 무작정 직접 구현을 하는 것 사이에서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아!!